싹 협동조합 보유 지식재산권
싹 협동조합이 보유 중인 지식재산권을 소개합니다

스마트농업플랫폼(특허2023-0060226 )

본 발명은 농작물의 육묘, 재배, 수확, 선별, 보관, 판매, 유통, 소비 등의 전 프로세스의 업무를 포함하는 스마트농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농업 경영체들은 육묘와 재배, 선별, 보관, 유통, 판매 등 각 단계별로 사업자가 분리되어 있거나 지역단위로 분산되어 있어 업무 표준화와 온라인 시스템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어 스마트농업 가치사슬 전체를 아우르는 온라인 시스템의 필요성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업의 가치사슬 전반을 포함하는 고객상담실 모듈, 육묘 모듈, 재배 모듈, 선별 모듈, 보관 모듈, 판매 모듈, 배송 모듈, 서비스 지원관리 모듈, 육묘채종업체 모듈, 소비자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농업 관련 제반 설비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농업 통합관제플랫폼과, 스마트농업 플랫폼의 안정적인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데스크, 인시던트관리, 문제관리, 변경관리, 릴리즈관리, 구성관리 프로세스로 구성되는 스마트농업 서비스운영관리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농업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종자에서부터 파종, 육묘, 재배, 배송, 판매되기까지 농산물의 유통 전 과정의 이력을 조회할 수 있고, 농업 각 단계별 농작물 상태정보를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할 수 있으며, 농작물별 최적 육묘, 재배 환경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다.

ITIL 국제표준 기반 스마트농업 운영관리 플랫폼(특허2023-0060227 )

본 발명은 ITIL 국제표준 기반 스마트농업 서비스운영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농작물의 육묘, 재배, 수확, 선별, 보관, 판매, 유통, 소비 등의 전 프로세스의 전산업무를 포함하는 스마트농업 플랫폼의 서비스 운영관리업무 즉, 단일 고객대응 창구인 서비스데스크와, 장애 혹은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인시던트관리와, 장애나 서비스 이상 원인을 찾아 대응하는 문제관리와 자산 혹은 서비스의 변경을 처리하는 변경관리와 자산 혹은 서비스의 설치를 수행하는 릴리즈관리와, 자산이나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관리와, 스마트농업 플랫폼을 구성하는 설비나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와의 연계를 통해 해당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도구와, 서비스운영관리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합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스마트농업 서비스 운영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ITIL 기반 스마트농업 서비스운영관리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농업 플랫폼의 안정적인 운영, 업무 생산성 향상, 고객만족도 향상을 통한 스마트농업 플랫폼 수익 확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국제표준 기반 서비스 운영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농업 산업분야 표준화 적용 확대와 국제 표준 기반 글로벌 진출을 확대함으로써 국내 스마트농업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도울 수 있다.

스마트농업 통합관제 플랫폼(특허2023-0060228 )

본 발명은 스마트농업 통합관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농업 플랫폼에서는 스마트 육묘장, 스마트 재배장, 농작물 수확/선별 장치, 모종/농산물 이송장치, 스마트 보관창고, 농작물 판매용 배송장치 등의 자동화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들이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거나 고장 등으로 인해 운영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아 스마트농업의 확산에 있어 이들에 대한 원격 통합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농업 플랫폼의 시설과 장치들의 원격 통합관제를 위하여 육묘, 재배에서부터 수확, 선별, 보관, 배송 등 업무 자동화를 위한 스마트육묘동, 스마트재배동, 스마트선별장, 스마트 보관창고, 이송장치 등 자동화시설과 개별 자동화 장치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관리도구, 통합데이터베이스 및 통합관제실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통합관제 플랫폼을 이용하여 원격지 관리자가 시설, 장치, 센서의 정상작동여부, 단계별 입출고 현황, 실내환경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농업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종자에서부터 파종, 육묘, 재배, 배송, 판매되기까지 농산물의 유통 전 과정의 이력을 조회할 수 있고, 농업 각 단계별 농작물 상태정보를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할 수 있으며, 농작물별 최적 육묘, 재배 환경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농업 통합관제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육묘, 재배, 수확, 배송 등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농민의 작업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비 고장 발생시 신속히 조치 가능하고, 육묘/재배동 생산량 혹은 품질 분석을 통하여 최적 육묘/재배 환경을 도출할 수 있어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추 연26모작 육묘,재배 수직농장(특허2023-0062154 )

본 발명은 식물의 생육환경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육묘 및 재배용 시설에서 상추를 연간 26회 수확할 수 있는 상추 연26모작 육묘·재배 수직농장에 관한 것이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2012년 ‘인공광이용 컨테이너 식물공장 내에서의 상추의 적정 육묘일수’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연구개발자 엄영철, 공동개발자 장윤아, 이준구, 이상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연구과제에 대한 상업화를 하기 위한 것으로, 농작물의 육묘에 필요한 온도, 습도, 산소(O), 이산화탄소(CO2), 양액, 수분공급, 광량(LED) 공급, 환기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컨테이너 수직농장 육묘장과 재배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상추 연 26모작 수직농장 육묘장과 재배장을 제공함으로써, 상추 모종 기준 연 최대 17모작, 평당 연 69,711주, ㎡당 연 21,215주의 상추 모종을 생산할 수 있고, 상추 재배 기준 연 최대 26모작, 평당 연 15,000주, ㎡당 연 4,541주의 상추를 재배할 수 있는 재배생산성을 갖출 수 있어 상추 농가의 소득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태풍, 가뭄, 냉해, 폭염, 병해충 등 외부 기후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육묘와 재배 자동화에 따른 노동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성인의 활동반경 내인 높이 2.9m 내의 국제표준 컨테이너 내에서 재배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생육환경 재배로 동일 품질의 농산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고품질 특성이 요구되는 산업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