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싹 협동조합에서 추진하는 스마트육묘사업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하였습니다

싹협동조합 스마트육묘사업 FAQ
싹협동조합 스마트육묘사업 FAQ

싹 협동조합 스마트육묘사업


FAQ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2023년 6월 29일


싹 협동조합

 

※ 싹 협동조합의 스마트육묘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하였습니다. 투자 의사결정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 보시기를 권합니다.



스마트 육묘사업과 관련하여 자주 물어보시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하였습니다.


Q1>어떤 사업을 하고자 하는 건가요?

A1>상추와 엽연초 육묘사업입니다. 


자동화시설을 갖춘 육묘장에서 담배잎인 엽연초와 상추 같은 엽채류 대상 육묘사업을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연간 최대 13억원의 육묘사업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Q2>왜 이 사업을 추진하나요?

A2>진행 중인 수직농장 상추 재배사업을 위해 필요한 모종을 직접 생산하기 위해서입니다.


싹 협동조합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육묘에서부터 재배, 판매 등 농업 전반에 적용하는 스마트농업을 통해 농업분야 GDP를 5% 수준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 설립된 협동조합입니다.


현재 이 기술이 적용된 수직농장을 랩팜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8월말경 개발이 완료됩니다.


이 기술은 밀폐된 컨테이너 안에서 로봇, 인공지능, 자동화기술을 이용 원격에서 무인 재배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에 필요한 상추 모종을 자체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입니다.

Q3>육묘사업은 어디서 하나요? 육묘 시설은 확보가 된 건가요?

A3>충남 공주입니다. 


현재 괜찮은 육묘장 임대 물건이 나와 5년 임대협상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7월말까지 계약을 진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시급하게 자금을 조달하려 하는 겁니다.

Q4>투자자금이 얼마나 필요하고, 언제까지 조달해야 하나요?

A4>1차 모집금액은 2억이며, 모집기한은 7월31일, 모집금액이 모이면 마감됩니다.


농업회사법인을 신설하고, 투자금 전액을 자본금으로 투입하고, 농업회사법인이 임대계약과 사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Q5>투자자금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A5>임대기간 5년, 육묘장 보증금 1억원, 연 임차료 선납 27백만원, 그리고 6개월간 초기 운영비 73백만원입니다.


육묘장이 현재 운영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추 육묘를 바로 시작할 수 있고, 2개월 후부터는 정상적으로 모종을 출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Q6>현재 육묘업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나요?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계획인가요?

A6>가동율이 낮아 수익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육묘장은 주문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즉 팔 데가 없으면 생산을 하지 않죠. 


코로나 이후 전기료와 인건비가 대폭 인상되었지만, 모종 가격은 오르지 않았거든요. 


운영하면 적자인 거죠.


우리는 현재 13% 수준인 가동율을 90%로 끌어올려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육묘장은 가동율만 높으면 수익이 분명히 나는 구조이거든요.


제조업의 공장가동율과 같은 이치죠.

Q7>육묘한 모종의 판로는 확보가 되어 있나요?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확보할 계획인가요?

A7>저희는 자체 판로가 이미 있습니다. 바로 연 26모작 상추 수직농장입니다.


9평 수직농장 재배동 1대에 월 10,400주(5,200주X 2회/월)의 모종이 필요합니다. 


이 육묘장의 육묘 Capa는 월 136만주(10,700개 X 128구)이니 수치상으로는 재배동 130대를 커버할 수 있는 거죠. 


재배동이 더 팔리면 육묘장을 또 늘리면 되는 거죠.

Q8>투자자들에게 주어지는 혜택은 무엇인가요?

A8>신설 농업회사법인 지분의 80%를 투자자에게 드리고, 5년간 배당수익의 80%인 8.6억 원의 배당수익(5년간 432% 배당소득)을 제공하게 됩니다. 

물론 예상치에 불과하지만, 모험에 대한 대가의 대부분을 투자자분들께 드리려 합니다.

Q9>투자자는 누구를 대상으로 모집하고 있나요?

A9>은퇴 후 귀농귀촌을 계획하고 계시는 분들입니다. 


농촌에서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 먼저 체험하고, 투자수익으로 귀농귀촌 자금도 마련하고, 이 사업으로 귀농귀촌하면 일거양득 아닐까요?

Q10>육묘 대상 농산물은 정해져 있나요? 연간 생산 Capa와 판매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A10>상추와 엽연초입니다. 


Capa는 연간 최대 상추 2천만주, 엽연초 136만주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Q11>어떤 형태의 투자를 원하나요? 단순 자금 투자를 필요로 하나요? 함께 사업에 참여할 수도있는 건가요?

A11>굳이 참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몸과 마음이 고생할 겁니다. 각오가 되어 있다면 함께 참여하세요. 현재 저 포함 2사람은 각오가 되어 있답니다.

Q12>현재 특정 육묘장이 지정되어 있나요? 다른 지역의 육묘장도 가능한가요?

A12>이번 투자는 공주 육묘장에 한합니다.

 

사업 입지 분석에는 적어도 2달 이상의 분석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럴 여유가 없습니다.

Q13>파종, 발아, 육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고 싶어요.

A13>일단 파종기에 모종이 적재될 128구 트레이와 상토, 종자를 투입한 후 파종기를 가동합니다.


파종기는 트레이에 상토를 채우고, 종자를 떨어뜨리곤 상토를 살짝 덮어놓습니다. 


그러면 작업자가 트레이에 인식표를 부착한 후 운반대에 옮기고, 비닐하우스 육묘장으로 이동, 트레이 베드에 차곡차곡 펼쳐 놓습니다. 이렇게 하면 육묘준비가 완료된 겁니다.


그리곤 살수기와 양액기에 물과 양액을 채우고 자동살수기를 가동시킵니다. 자동살수기는 하우스천장에 매달려 있는데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천천히 이동하며 물과 양액을 분사합니다.


이 작업을 하루에 두 번 매일 하면서 모종이 3~4주간 반복됩니다.


물론 매일 매일 과정을 살피는 게 중요합니다. 햇빛이 너무 세면 차광천을 펼치고, 모종 상태를 아침 저녁으로 살펴 주게 됩니다. 이 작업이 쉬우면서도 가장 중요한 작업이죠.

Q14>투자자금은 어떻게 관리되며 떼일 염려는 없나요?

A14>투자자 중에 재무전문가가 있다면 대 환영입니다. 현재 월별로 자금계획이 잡혀 있고, 이대로 집행하고, 실적을 관리할 겁니다.


돈 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다만, 매주, 매월, 자금집행실적을 투명하게 공유할 겁니다. 


이 부분이 투자하는 사람이나 일하는 사람에게 신뢰의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법인카드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현금 사용은 극도로 제한할 겁니다. 


그래야 사고가 안 납니다.

Q15>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15>싹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하신 후 조합원가입신청을 하신 후 출자금을 납입하시면 됩니다.


싹 홈페이지의 조합원 가입 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자세한 사항을 알려 드립니다